vr지리여행 우이도 해안사구

우이도 해안사구

VR Korea

Click on the Photo ->  VR Tour (VR기기 또는 VR카드보드지를 사용하면 좋아요)

우이도 해안사구

최고관리자 0 206 03.19 11:10

fdeeb038c5aff3d61199f57097ba1aa4_1742350198_6272.jpg
<사진 클릭, 우이도 360VR 답사> 

Sand dune on Ui island, Sinan

답사,
2023107~9(23)서울, 안산, 광주, 전주 사람들이 고창에 모여 점심을 먹고 답사출발, 신안군 자은도 면전해수욕장 답사, 암태도 남강여객선터미널에서 배에 자동차를 싣고 비금도 가산여개석터미널에 내려 비금도 덕산답사, 작년(20226)에 다녀간 비금도 그림산, 선왕산, 하트해변, 명사십리 해변은 지나치고, 서남문대교를 건너 도초도에 있는 자산어보 영화 촬영지를 들렀다가 숙소(1)..., 늦은 시간까지 만남의 회포를 풀다 잠깐 눈을 붙이고 도초여객선터미널 새벽 620분 우이도 돈목리행 섬사랑 6호를 타고... 우이2구 돈목리 도착, 숙소에 짐을 풀고 아침밥을 먹고 바로 우이1구 진리로 산행, 지금은 마을터만 남은 우이도 최초의 마을 대초리를 지나 띠밭넘어해변, 홍어장수 문순득생가, 정약전 적거지, 사당터, 우이도 진리 옛 선창 답사, 3시 넘어 들어오는 배를 타고 동소우이도, 서소우이도 거쳐 다시 우이2구 돈목항으로 돌아와 해안사구 답사 후 숙소(2)..., 다음날 동소우이도, 서소우이도 거쳐 도초도로 나와... 영산강 구하도 답사(느러지전망대, 삼포천 구하도, 죽산리 구하도)

돈목에서 대초리까지 가는 길은 직선상으로 계속 1km를 오른다.우이도는 민박은 있지만 식당은 없다. 민박을 하면 식사가 가능하다. 민박집의 점심 식사를 포기하고 진리로 넘어가 진리의 수퍼 겸 매표소에서 컵라면을 샀지만 온수를 얻을 수 없었다. 우이1구 이장님이 경영하는 설희네 민박에서 뜨거운 물을 해결하였다. 심지어 사모님께서 김치, 국물, 밥까지 주셔서 우이도 민심을 뜨겁게 확인하였다. 고맙습니다.~

 

우이도해안사구

돈목마을 북쪽 바닷가로 나가면 남북 방향의 모래 해변이 펼쳐지고, 해변 북쪽 끝에 50m 높이의 사구가 있다. 사구는 동서 방향 산릉선의 잘록한 낮은 부분으로 북쪽 해빈의 모래가 북서풍에 실려와 만들어지고 유지되고 있다.

fdeeb038c5aff3d61199f57097ba1aa4_1742350875_2107.jpg

fdeeb038c5aff3d61199f57097ba1aa4_1742350908_3229.jpg
 

사구의 남북 단면은 바람윗목(windward side)20°내외로 경사가 완만한 반면, 바람아랫목(lee side)30°~40°의 안식각(angle of repose)으로 가파른 경사를 보인다. 따라서 실려온 모래는 바람자국(ripple mark)을 형성하고 이동하지만 정상을 넘어서면 때때로 일어나는 사태(avalanche)로 급경사면 위에 무너져 내린다. 부분적인 침식으로 드러난 사구의 상부층은 다양한 경사의 사층리가 나타나며, 계절적으로 변하는 풍향과 풍속을 기록하고 있다.

 

<아래글은 우이도 해안사구의 지형특성과 형성과정신원정, 김종욱, 김종연, 최정헌, 한국지형학회지 제24권 제2(2017) 1~13을 읽고 요약 정리한 것이다.>

 

우이도

우이도는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에 포함된 섬으로 행정구역상 전라남도 신안군 도초면에 속하며, 서소우이도, 동소우이도와 함께 우이군도를 이룬다. 기반암은 백악기 유문암 및 유문암질 응회암으로 비교적 단순하다. 산지의 분포를 보면 섬 중앙부에 상산봉(361.1m)이 주봉을 이루고, 이를 중심으로 북쪽에는 마두산(185.9m), 그리고 남서쪽에는 도리산(248.1m)의 산줄기가 뻗어 있다. 이들 산지의 경사는 대체로 가파른 편이며 계곡 내에는 평지가 넓지 않다. 산지 내 큰 하천은 없으며, 강우 시에만 일시적으로 물이 흐르는 소규모 하천들만 존재한다. 사구퇴적층 내의 작은 곡지들 또한 주로 우곡의 형태로 발달해 있다.

 

해안에는 해식애가 발달된 곳이 많으며 규모가 큰 해빈은 대부분 사빈이다. 이들 사빈이 있는 곳의 인근 바다 역시 모래로 이루어져 있는데, 우이도 북쪽의 외해가 대표적이다. 이와는 달리 우이도 남쪽의 바다는 이질(泥質) 퇴적물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안사구는 우이도 북쪽의 성촌 해안과 띠밭너머 지역, 그리고 남서쪽의 돈목 해안에 널리 분포한다. 그 중에서도 성촌마을 바로 뒤편의 해안에서부터 돈목해수욕장에 이르는 곳의 사구 규모가 가장 크며, 이곳 산지에 발달한 사구가 우이도를 대표하는 우이도 사구이다.

 

우이도 사구

우이도 사구는 성촌 해빈에서부터 전사구, 배후사구로 이어지며, 배후사구가 탁월풍에 의해 기반암 산지를 넘어가는 형태로 발달되어 있다. 기반암 산지의 기복이 사구의 형태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형태의 사구에 대해서 등반 사구(climbing dune)라고 보고된 바있다. 우이도 사구의 경우 모래가 산지의 안부를 넘어가는 곳에 발달되어 있어 계절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의 탁월풍 영향을 받는다. 전체적인 형태로 볼 때 북사면이 완만하고 남사면이 급경사를 이루고 있어 주로 겨울철 북서풍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보이나, 여름철 남풍에 의해 이동되는 모래의 양도 상당하다. 북서계절풍의 영향이 지배적이나, 계절에 따라서는 사구 정부를 기준으로 북사면과 남사면 양측에서 모두 모래가 공급·이동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fdeeb038c5aff3d61199f57097ba1aa4_1742351025_2758.jpg

우이도 사구 정상부에는 양 방향으로 불어오는 탁월풍의 영향으로 인해 다양한 풍식 지형이 나타난다. 주로 유문암 및 응회암으로 이루어진 풍식력(ventifacts)들이 다수 관찰된다. 이 외에도 사구 표면에는 수많은 물결자국(ripple mark)이 나타나고 비사의 양이 상당하여, 매우 가변적인 형태를 보인다. 정상부 양안에서는 모래 입자들이 경사를 따라 흘러 내리며 사태(sand avalanche)가 발생하는 모습이 관찰되고, 다양한 방향의 사층리가 발달해 있어 바람의 방향과 세기가 일정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우이도

 

사구의 퇴적 시기

OSL 연대측정 결과를 토대로 현재 우이도 해안사구를 형성하고 있는 모래는 대부분 지금으로부터 약 100200년 전 동안에 퇴적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8001900년대에 가장 활발하게 사구 모래가 퇴적 혹은 재이동되었다고 판단한다.

 

이는 현재까지 알려진 홀로세의 해수면 변동과 우이도 사구의 형성 시기등에 대한 연구와 상당 부분 일치하지 않는 결과다홀로세의 해수면 변동 이후에도 모래의 이동 및 퇴적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지속적으로 사구가 발달해왔으며지난 200년 동안 역동적으로 사구가 성장해온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우이도 사구 모래의 공급원

우이도 사구의 구성 물질은 외해의 조간대 및 해빈에서 공급된 것으로 성촌 해안 북측 지역이 우이도 사구 모래의 주된 공급원으로 보고 있다성촌 해안은 외해로 열려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바다로부터 공급되는 모래의 양이 상당하며, 간조 시 사빈의 상당 부분이 노출되고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곳이기 때문에 다량의 모래가 쉽게 운반, 퇴적될 수 있는 조건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성촌해안 북측의 외해는 사질 조간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구의 형태가 북서풍의 방향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성촌 해안으로부터 공급된 모래가 겨울철 계절풍에 의해 현재 사구의 위치로 이동 퇴적된 것으로 보인다.

<
참고문헌>‘우이도 해안사구의 지형특성과 형성과정신원정, 김종욱, 김종연, 최정헌, 한국지형학회지 제24권 제2(2017) 1~13
 

<옛 지도로 보는 우이도>
fdeeb038c5aff3d61199f57097ba1aa4_1742351080_8847.jpg
  

* 서쪽 양단에 돌출한 2개의 반도가 소의 귀처럼 생겼다고 하여 우이(牛耳)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 1926, 1974년대 지형도에는 돈목리(豚木里)가 저항리(猪項里)로 표기되어있다.(마을의 지형이 돼지 모양?)* 6개 마을(진리, 돈목리, 성촌, 대초리, 예리, 선창구미)에서 2024년 현재 3개마을(진리,돈목리,성촌), 최근에 예리마을에 4가구가 들어와 산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예리분교를 숙박시설로 리모델링한다는 이야기도 있다.

* 450여 년전 최초로 우이도에 사람이 정착한 마을은? 대초리

* 진리초등, 예리분교, 항성분교(돈목)이 있었으나 현재는 초등학교가 없다.

* 진리와 돈목을 잇는 도로공사가 중단된 상태...

* 도초도에서 0620분 배가 돈목항으로 먼저 들어왔다가 동소우이도, 서소우이도, 진리항을 거쳐 나간다.

* 도초도에서 오후 2시 배는  진리항으로 먼저 들어와 동소우이도, 서소우이도, 돈목항을 거쳐 나간다.

*  '자산어보'를 쓴 정약전(1758~1816)이 우이도에서 1801년부터 1806년까지 유배 생활을 했다. ....<생략> 이후 내용은
https://geovr.tistory.com/entry/%EC%9A%B0%EC%9D%B4%EB%8F%84-%ED%95%B4%EC%95%88%EC%82%AC%EA%B5%AC
에서 확인 가능함.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