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지리여행 삼남대로 '갈재 옛길'(노령)따라 360VR 답사

삼남대로 '갈재 옛길'(노령)따라 360VR 답사

VR Korea

Click on the Photo ->  VR Tour (VR기기 또는 VR카드보드지를 사용하면 좋아요)

삼남대로 '갈재 옛길'(노령)따라 360VR 답사

최고관리자 0 3,393 2022.05.06 09:37
abe29048c110f075dbfaadb303d5687d_1651797337_242.jpg

갈재 옛길따라_360 VR 답사 [백양사역~입암면사무소] ( 사진 클릭) 



전라감영에 관련된 자료를 찾다가 ‘화륜선 타고 온 포크, 대동여지도들고 조선을 기록하다(2021, 알파미디어)를 읽게 되었다포크(George Clayton Foulk, 1856~1893)는 1884년 5월 조선 주재 미국 공사관 해군 무관으로 부임하여 정보 수집을 위해 1884년 11월 1일부터 12월 14일(44일간 1448km)까지 조선 남부 지역에 대한 조사 여행을 한다.

일기 형식의 조사기록으로 개인적인 감정과 느낌을 여과 없이 기록하고 있고그림을 그리듯이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대동여지도, 여지도를 이용한 외국인의 조선 여행 기록으로 가마를 타고 여행하였지만 관아에서 제공한 숙소보다는 주막과 역원을 주로 활용하려 하였다.
 

abe29048c110f075dbfaadb303d5687d_1651797518_9596.jpg
포크, 1884년 포크의 여행 경로, 호조, 1883년 미국에 파견된 조선 보빙사와 함께 찍은 포크


함께 한 일행은 총인원 18명이었다. -조지 포크전양묵(양반일본어 통역), 정수일(서광범이 추천한 집사역할), 가마꾼 12말을 끄는 소년(3)과 하인(경숙이)- 말 2마리보교(가마) 3트렁크 5손가방 3사진기삼각대총기 상자돈 바구니...

처음 보는 서양인에 대한 호기심으로 사람들이 엄청나게 몰려들고화장실까지 따라오고 무례한 표정으로 지켜보는 사생활과 에티켓이라는 개념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집요한 시선들로 고통스러워하지만포크가 지나는 길과 마을에 대한 생생한 묘사는 독자로 하여금 자신의 경험과 상상력을 동원하여 계속 추적하고 따르게 한다다음 일정 속의 지역은 어떻게 표현하고 있을까? 책을 놓지 못하고 계속 책장을 넘기게 된다여행 일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일어난 갑신정변으로 인한 긴박한 상황의 기록은 긴장감마저 몰고온다.

전라북도 부분(11월 7~8일 용안, 9일 삼례, 10~11일 전주, 12일 원평, 13일 군영다리) 중 갈재에 들러 이런 기록을 남겼다.
"앞쪽에는 우리가 따라왔던 산맥이 가로놓여 있었다. 이곳에서 산맥은 서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이곳의 조선 지도는 거의 정확했다. 우리 앞에는 분명 무척 높은 날카로운 바위 등성이가 있는 두 개의 산봉우리가 기다리고 있었다. 길은 그 사이로 곧바로 이어졌다. 왼쪽의 산은 갓바위산이었다. 북서쪽 구석에 날카롭고 높은 봉우리가 있었는데 형태가 말이나 요새처럼 생긴 거대한 바위였다......<중략>이곳의 이름은 군령다리 마을로 의미는 ‘군대명령 다리’ 였다. 이곳의 위치는 아마도 역사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곳 같았다......<중략>여기는 큰 주막이었지만 끔찍하게 더럽고, 벌레가 많았으며, 진흙투성이의 무너져 내릴 듯한 가축우리 같은 오두막을 모아 놓은 곳이었다......<중략>군령다리는 장성에서 40리 거리다."

 

abe29048c110f075dbfaadb303d5687d_1651797623_444.jpg

대동여지도에 표기된 노령


2008년 6월, 옛길을 찾아 군령다리(군령교)마을 앞 호남선 폐철도와 폐터널까지 가본적이 있다. 14년이란 시간이 지난 후 2022년 4월 21일지형도(1924)와 구글위성지도(2022)를 중첩시켜 옛길을 추적해보고전남 백양사역에서 전북 입암면사무소까지 9.8km의 복원된 ‘삼남대로 갈재 옛길’을 걸었다.
 

abe29048c110f075dbfaadb303d5687d_1651797684_7047.jpg



현재 갈재(노령)는 호남고속도로터널, 1번국도터널1번국도(장성갈재), KTX고속철도터널호남선철도터널이 지나가고 있다그리고 폐호남고속도로호남선철도 복선화 이전의 호남선 폐철도길(1914)과 터널이 존재하며 신작로와 철도가 생기기 전 걸어서 넘었던 삼남대로 옛길이 있다.(입암면사무소천원역터입암저수지군령마을폐철도길갈재목란마을원덕 미륵불갈애바위백양사역)

도적떼들이 들끓어 군사들을 산 밑에 두고 갈재를 넘나드는 사람들을 보호했다는 기록 때문에 첩첩산중으로 생각하고 걸었는데고속으로 달리는 자동차와 기차의 소음이 산속 깊숙이 옛길까지 날아왔다사람들의 인적이 거의 없었는지 길가에 만들어 놓은 벤치는 형체를 알아 보기 힘들 만큼 썩어 있었고 쉼터 정자는 지붕이 뜯겨진 채 바람에 펄럭이고 있었다. 2021년 12월 국가지정 명승이 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거의 관리가 안되고 있는 것 같다.(민원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다. - 422일자로 장성군청에 민원이 접수되었다는 문자가 오고, 2022년 5월 12일로 민원처리 기간이 연장되었다는 문자가 왔다.)

백양사역에 도착, ‘갈재길 종합안내판으로 갈재길 전체를 파악한 후 출발한다안내판에 오류가 있다갈재 넘어 굴다리는 새로운 길이 만들어지면서 이용되지 않고 있는데 여전히 굴다리가 표시되어있다.
 

abe29048c110f075dbfaadb303d5687d_1651797758_1227.jpg 

갈재길 코스에서 굴다리 대신 새로운 길을 이용한다.


백양사역에서 나와 왼쪽길로 간다비오리 갤러리 문학관’을 만나게 된다비오리는 오리과의 겨울철새로 원앙보다 금슬이 좋다는데갤러리 문학관을 세운 분들도 금슬이 좋은 부부라고 한다갤러리에서 부부의 시화 작품과 장성 출신 작가들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갤러리 사거리에서 길 건너 방향표지판을 따라 700여미터 가면 호남선 밑을 지나는 굴다리가 나온다굴다리를 막 빠져나오면 갈재를 넘어 오는 옛1번 국도다차량 통행은 많지 않으나 주의를 요한다위험하니 2차선 도로를 따라 걷지 않고 하천 잠수교를 건너 둑방길로 원덕마을까지 간다원덕교를 건너 약 200미터 직진하면 양쪽으로 갈라지는 곳에 도착한다여기에서 주의 해야한다.
 

abe29048c110f075dbfaadb303d5687d_1651797843_7367.jpg
방향표시판이 엉터리(2022년 4월 21일 현재)


방향표시판은 갈재정상을 왼쪽으로 안내하고 있지만, 이 방향표시판을 믿고 가면 다시 돌아와야 한다. 호남선 변전소가 길을 가로막고 있기 때문이다갈 수 없는 상황이지만 갈재정상을 안내하는 방향표시판은 철도 안전 철조망 안에서 계속 길을 안내하고 있다. (2022년 421일 상황)
 

abe29048c110f075dbfaadb303d5687d_1651797929_4711.jpg
원덕사 미륵불


원덕사 미륵석불과거 언제 만들어졌는지 알 수 없으나 예나 지금이나 이 길을 지나는 모든 사람들의 눈에 들어왔을 원덕리 미륵석불이 온갖 세파를 가슴에 품고 세상을 바라보고 서 있다.

원덕사 미륵석불을 보고, 왔던 길 300여 미터를 되돌아간다다시 안내표시판에 도착하면 왼쪽 저멀리 호남선 밑을 지나는 굴다리가 보인다굴다리를 통과하여 옛국도 1번도로를 따라 갈재정상으로 간다도로 왼쪽으로 호남선 철도오른쪽 높은 축대 위엔 새로난 1번국도다.
 

abe29048c110f075dbfaadb303d5687d_1651798002_8551.jpg
전일귀 효자비와 갈애바위(미인바위)


갈재정상을 향해 걷다보면 왼쪽 철도길 넘어 원덕사 미륵석불 뒷모습이 보인다조금 더 가면 오른쪽 도로변에 전일귀의 효자비석이 훼손된 상태로 서있다.(동학농민군을 이끌던 전봉준이 비석 앞에서 제를 올렸다는 이유로 관군이 비석을 훼손했다함.)

효자 비석으로부터 약500미터변전소 부근에서 왔던 길을 돌아보면 왼쪽에 갈애바위가 보인다칼에 맞아 다친 한쪽 눈이 숲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다.

(갈대)’라는 이름을 가진 기생 갈애가 과거를 보러 가는 유생과 주변의 관리들을 현혹해 나라에서 엄벌을 내렸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 갈애바위’(미인바위)사람들은 한 쪽 눈을 다친 갈애의 얼굴처럼 변한 갈애바위에 위령제를 지내주었다고 한다.<조선 후기 문인화가인 이하곤(16771724) ‘남유록(南遊錄)’>

신목란마을에서 800여 미터갈재 옛길 들머리에 도착한다. ‘갈재길 종합안내도가 길가에 있다방향표시판이 없어 주의하지 않으면 그냥 지나칠 수도 있다부근에 송전탑과 쉼터 정자가 있지만 숲에 가려져 잘 보이지 않는다.

수풀이 우거진 계절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인적이 없었는지 가로막는 나뭇가지와 수북이 쌓인 나뭇잎이 으스스하게 만든다나뭇잎이 두텁게 덮고 있지만 길은 넓고 잘 닦여 있다그러나 길가에 만들어 놓은 듯한 나무벤치는 대부분 썩어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다.

장성 갈재 넘으면’ 최일환 시인의 시를 만나고 조금 더 가면 옹달샘을 만나게 된다.
 

abe29048c110f075dbfaadb303d5687d_1651798112_1969.jpg
동이 샘


‘길객의 오아시스 샘터’ 동이와 관련해 전해지는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태인 땅에 살고 있었던 동이는 전염병으로 가족을 모두 잃었다졸지에 고아가 된 동이에게 어떤 스님이 네가 살려면 장성 갈재 샘터로 가라고 말했다동이는 스님의 말에 따라 물어물어 갈재 샘터를 찾아왔다동이의 형색은 거지나 다름없었다그때 마침 나주 부사로 부임하는 민돈중이 갈재샘터를 지나게 됐다민돈중은 동이를 서울로 데려왔다동이는 창덕궁 궁녀로 들어가 숙종의 총애를 받았다인현왕후도 구하고 자신도 숙빈이 돼 영조임금을 낳았다
 

abe29048c110f075dbfaadb303d5687d_1651798161_4954.jpg
전남과 전북의 경계, 쉼터 정자, 장성부사 홍병위의 영세불망비


갈재(276m)는 전남 장성군 북이면 목란마을과 전북 정읍시 입암면 군령마을 사이에 있던 길이다. 서쪽의 방장산(742.8m)과 동쪽의 입암산(626m)사이 가장 낮은 부분을 넘고 있다.
 

갈재(葛岾)는 문헌기록에 노령(蘆嶺), 위령(葦嶺), 적령(荻嶺) 등으로 표기되어 있고 갈대가 많은 고갯길이란 뜻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 갈재 주변에는 갈대가 자라지 않는다.


abe29048c110f075dbfaadb303d5687d_1651798986_4751.jpg
1872년 지방지도_정읍현, 장성부지도의 갈재(노령) 부근

노령(蘆嶺)의 이름은 고려 현종(顯宗)이 거란족의 침략을 피해 나주로 피난할 때 넘었다는 기록으로 고려사<高麗史>에 처음 등장한다. 
高麗史 권4 世家 권4 顯宗 2년, 「一月」: 乙酉, 丹兵退. 丙戌, 王過仁義縣, 次水多驛. 丁亥蘆嶺入羅州. 乙未, 王回駕, 次伏龍驛. 戊戌, 次古阜郡.


abe29048c110f075dbfaadb303d5687d_1651799350_9051.jpg


高麗史 권 4 世家 권 4 顯宗 2 년 , 「 一月 」 (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乙酉日거란군이 물러갔다丙戌日왕이 仁義縣을 지나 水多驛에 들렀다丁亥日왕이 노령을 넘어 羅州로 들어갔다. 乙未日왕이 수레를 돌려 伏龍驛에 들렀다戊戌日古阜郡에 들렀다.

지금의 태인(泰仁)에 해당하는 인의현(仁義縣)을 지나 정읍으로 들어선 뒤 노령(蘆嶺)을 넘어 나주(羅州)로 들어갔다고 하였다.

조선시대 노령에 대한 기록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井邑縣과 長城縣에 나타나며도적떼들이 들끓어 군사들을 산 밑에 두고 갈재를 넘나드는 사람들을 보호했다는 기록도 「長城縣」『新增』【關防】에 있다.
 

abe29048c110f075dbfaadb303d5687d_1651799417_326.jpg
신증동국여지승람(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新增東國輿地勝覽 34 全羅道井邑縣: <葦嶺葦或作蘆在縣南三十里長城縣界又有小葦嶺在興德縣界.; 新增東國輿地勝覽 35 全羅道長城縣: <葦嶺>: 一云蘆嶺在縣北三十里要害之地新增』【關防葦嶺軍堡 嶺路幽阨盜賊群聚白晝殺掠行旅不通今 上十五年設堡防守

위령위는 혹 ‘蘆’로 쓴다. 현의 남쪽 30리에 있고 장성현의 경계이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