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내가 살고있는 곳이 나오지 않았을까?
지도클릭 확대해보세요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과 나일강을 찾아보세요~^^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Map of Integrated Regions and Terrains and of Historical Countries and Capitals(kangnido)

원본은
조선 태종2년(1402년)
대사성 권근, 좌정승 김사형, 우정승 이무, 검상관(법률자문) 이회가
만들었으나 전해 오지 않고, 
이 지도를 베껴 그린 지도가 류코쿠 대학에 전해오는 데,
류코쿠 지도를 다시 베껴 그린 것이 규장각 지도.

혼일강리도(하나로 합쳐진 영역, 즉 전세계를 의미)
역대국도(과거의 도읍지)
과거의 도읍지를 상세하게 수록한 세계지도.

당시 유럽사람들은 아프리카가 어떻게 생겼는지
모르고 있던 때라 아프리카 남쪽 끝 희망봉 앞 바다를
그린 것은 놀란 만한 일이죠.
15세기 초(1402년)의 세계지도로는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지도입니다.

아프리카, 유럽, 서남아시아, 중국, 일본등이 그려져 있습니다.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아래
'권근'이 쓴 글에 의하면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중국의 성교광피도와 혼일강리도, 조선의 전도지도, 그리고 일본의 지도를 합하여
새롭게 편집 제작한 것이다.

중국을 중앙에 배치하고 동쪽은 조선과 일본,
서쪽으로는 유럽, 아프리카에 이르는 구대륙 전역을 포괄한 세계지도이다.

이회가 주로 참고한 지도는
원나라 사람 이택민이 그린 성교광피도였다.
원나라는 넓은 지역을 다스렸기 때문에
세계 곳곳의 정보가 많아,
유럽, 아프리카, 서남아시아까지 그릴 수 있었고,
아라비아 서쪽의 지역은
원나라 때 유입된 이슬람지도학의 영향으로 그릴 수 있었다.
원나라는 중국을 지배하고있었기 때문에
중국에 대한 정보가 많아 중국을 가장 크고 자세하게 그릴 수 있었다.

또한 그 당시 조선은
중국의 영향을 받고 있었지만
결코 수동적인 관계만은 아니었던 것 같다.
권근의 글에서 조선 왕조에 맞춰 태종2년이라 하지않고
중국 황실에 맞춰 건문 4년이라 한 것은
당시 국제 정세를 반영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세계는 대단히 넓다"라고 한 것은
중국을 벗어난 다른 세계를 독자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우리나라가 중국보다 훨씬 작은데도 불구하고
실제보다 크게 그려졌다.
가장 많은 정보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조선의 지리와 역사를 독자적으로 표시하고자 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권근의 글에서 이택민이 지도를 그릴 때 군사적으로 민감한
"요수 동쪽"인 조선을 누락했으니 고쳐야한다고 지적한 대목은
당당했던 새 왕조에 필요한 실용적인 지도 제작의 필요성을
국경부근을 상세하지 않게 표현하지 않은 것은
중국과 여진족의 침입에 대비한 안보적 차원이라는 해석도 있다. 

지구가 구형이라는 인식을 하지 못하고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 라는
중국의 천원사상의 영향을 받아
지도를 직사각형으로 만들어 그려졌다. 

15세기초 유럽과 이슬람의 지도에는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를 그리지 않았거나,
모습이 부정확하고 우리나라나 일본은 그리지 않았다.

조선을 표현한 최초의 세계지도이며,
아시아에서 최초로 유럽을 그린 지도이다.

가장 넓은 지역을 가장 자세하게 그린
가장 훌륭한 세계지도가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이다.

조선 초기 지도제작의 수준과 더불어 동서 문화의 교류, 
그리고 당시 사람들의 세계인식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며,
미지의 세계와 다른 세계에 대한 개방적인 대외의식도 엿 볼 수 있다.

<지도 출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참고 문헌>
욕망하는 지도, 12개의 지도로 읽는 세계사, 제리브로턴, RHK
옛 삶터의 모습, 고지도, 오상학, 국립중앙박물관
땅과 사람을 담은 우리 옛 지도, 이기붕, 사계절
Share on facebook
Facebook